출퇴근 안전관리 이러닝 콘텐츠 소개
사업장에서는 업무의 특성에 따른 위험요인에 대비하고 그에 따라 안전수칙을 지켜 사고와 재해를 예방합니다. 사업장 밖에서 집에서 사업장으로 이동하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사고와 재해 예방이 필요합니다. 업무를 위해 일터로 이동하는 출근길과 업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퇴근길의 안전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안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통상적인 출퇴근 길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며, 산업재해로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업무를 준비하고 마무리하는 과정까지 안전해야 진정한 안전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사업장 안전을 위해서 회사는 근로자의 안전한 출퇴근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근로자는 출퇴근길 안전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알아 두어야 합니다.
오늘은 대한안전교육협회의 출퇴근 안전관리 이러닝 콘텐츠와 함께 안전하게 출퇴근하는 방법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출퇴근 재해

출퇴근 재해는 업무에 종사하기 위해 또는 업무를 마침에 따라 이루어지는 출퇴근 행위 중 이동 경로 상에서 발생한 재해를 말하며, 업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산업재해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통상의 출퇴근 재해로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은 주거와 취업 장소의 이동행위로 업무와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에 따라 이루어져 일탈 또는 중단이 없어야 합니다. 출퇴근 과정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위로 인한 일탈 또는 중단이 발생했을 때도 경우에 따라 산재 보상이 가능합니다.
이때의 통상적인 경로는 사회 통념상 이용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을 소요하는 경로를 의미합니다. 통상적인 방법은 열차나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 승용차, 자전거 등의 탈 것, 도보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해당하며, 전동 휠이나 인라인 스케이트 등의 교통수단을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것 또한 포함합니다.
교통수단별 주요 재해발생 유형

지하철 이용 시 재해 발생 유형
- 에스컬레이터에서 뛰거나 걷다가 발이 끼이거나 걸려 넘어짐
- 역사 내 계단 등에서 뛰거나 걷다가 넘어짐
- 무리한 탑승 시도 중 승강기나 스크린도어에 끼어 다침
- 역사 내 이동 시 스마트폰 사용으로 부딪힘, 넘어짐
버스 이용 시 재해 발생 유형
- 버스 승차 시 급출발 또는 급정지에 따른 넘어짐
- 손잡이를 잡지 않아 버스 운행 중 넘어짐
- 버스 도어 개폐 시 부딪힘, 끼임
- 버스 승하차 시 스마트폰 사용으로 부딪히거나 넘어짐
- 버스 하차 시 이륜차와 부딪힘
- 차도에 내려와 버스 탑승하려던 중 버스에 부딪힘
자전거 이용 시 재해 발생 유형
- 고르지 못한 노면 등에 의한 미끄러짐 넘어짐
- 운행 중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넘어짐
- 보행자, 골목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차량 등에 부딪힘
- 신호 위반하여 운행 중 교통사고
도보 이용 시 재해 발생 유형
-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넘어짐 또는 부딪힘
- 고르지 못한 노면에 미끄러짐 또는 넘어짐
- 이어폰 착용에 따른 다른 보행자나 차량 등과 부딪힘
- 무단횡단 등 신호 위반에 따른 교통 사고
출퇴근 재해 예방 수칙
출퇴근 시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이동하며, 일탈이나 중단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교통수단을 직접 운행하여 출퇴근하는 경우 교통 법규를 잘 알고 지켜야 하며,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등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안전거리와 속도도 준수합니다. 보행 시에는 주위에 위험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이나 이어폰 사용을 자제하며, 횡단보도 이용 시 신호등을 확인하고 길을 건너야 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교통수단에 따른 사고 위험을 인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고가 발생하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따른 대처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지하철 이용 안전수칙
- 역사 내 에스컬레이터는 우측에 서서 이동
- 옷, 스카프, 신발이 틈새에 끼지 않도록 주의
- 역주행 금지, 핸드레일 잡고 이동
- 승강장 안전선 뒤로 물러 서서 열차를 기다림
- 열차가 정차한 뒤 내리는 승객이 모두 내린 후 탑승
- 열차 내에서 손잡이를 꼭 잡고 급정차에 대비
- 화재나 비상 상황 발생 시 소리쳐 알리고 열차 내 비상 인터폰 등으로 신고
- 대피 등 비상 상황에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수동으로 열거나 비상용 망치 이용
- 비상 상황에서 선로를 이용하여 대피 시 마주오는 열차에 주의
- 위험 물질 소지하고 탑승 금지
버스 이용 안전 수칙
-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려 버스가 완전히 멈춘 후 탑승
- 차도에 내려 버스를 기다리는 행위 금지
- 탑승 후 손잡이를 잡고 이동, 좌석에 안전하게 착석
- 버스가 멈추기 전에 이동하지 않음
- 안전벨트가 있는 경우 반드시 착용
- 승하차 시 이어폰이나 스마트폰 사용 자제
- 차가 완전히 멈춘 후 하차하며, 이륜차 등 주의
- 내릴 때 옷이나 가방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
- 버스 이용 중 비상상황 발생 시 소화기와 비상 망치 등 사용
- 비상상황 발생 시 출입문을 수동으로 열고 탈출
자전거 이용 안전수칙
- 안전모 착용 및 음주운전 금지
- 운행 전 자전거 안전 점검
- 자전거 도로를 이용하거나 도로 우측 가장자리 차선 이용
- 야간 운행 시 전조등과 후미등 등의 라이트 켜고 반사조끼 등 착용
- 주행 시 스마트폰 및 이어폰 사용 금지
- 일정한 요건을 갖춘 안전한 전기 자전거 사용
대한안전교육협회
출퇴근 안전관리 이러닝 콘텐츠 소개


대한안전교육협회의 출퇴근 안전관리 이러닝 콘텐츠는 출퇴근 재해의 개념과 출퇴근 재해 인정 사례를 통해 재해 성립요건을 살펴보고 안전한 출퇴근길을 위한 안전수칙과 대처요령을 통해 업무를 준비하고 마무리하는 과정까지 모든 과정에서 안전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살펴보는 산업안전보건교육 콘텐츠입니다.


대한안전교육협회에서는 다양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여 협회의 산업안전보건교육에 활용하는 한편 자체 교육을 진행하는 사업장 등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업장 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안전보건 기술을 전합니다. 그 외에도 생활안전 교육, 학교 안전교육 등 교육 대상 및 내용에 따른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각급 학교와 관공서 기업 등의 안전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한안전교육협회는 생활/ 재난 / 산업 등 다양한 주제의 안전 콘텐츠를 자체 제작하여
학교 / 기업 / 관공서 안전교육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전체험관 구축은 물론이고, 체험관 내 VR 콘텐츠 및 시뮬레이터 설치도 가능하오니 언제든지 문의 바랍니다!
01. 찾아가는 안전교육 [안전체험교육] : 기업, 관공서, 학교, 행사 등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진행합니다
02. 안전체험관 구축 [안전 시뮬레이터 보급] : 국내/외 안전체험관 내 체험 존 구축 및 교실형 안전체험관 등을 구축합니다.
03. 행사 체험부스 운영 [안전체험 행사 진행] : 각종 박람회, 전시회, 축제, 시연회 등 행사에 체험부스를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 체험관 및 프로그램 구축 문의 ◆
safety300@safetykorea.or.kr 메일 발송
☎ 1644-4771
아래 내용을 작성하여 메일 발송 혹은 대표 번호 ☎ 1644-4771로 문의 바랍니다.
'안전 STORY > 협회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실 작업환경안전 이러닝 콘텐츠 소개 [대한안전교육협회] (1) | 2025.04.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