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전교육협회 3

심폐소생술(CPR), 언제, 왜 하고 어떻게 하는 걸까? [대한안전교육협회]

심폐소생술(CPR),언제, 왜 하고 어떻게 하는 걸까?최근 대중교통을 이용하다 보면 심폐소생술(CPR)에 대해 교육하는 영상을 자주 볼 수 있죠. 그런데 심폐소생술은 정규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민들은 어떤 경우에 어떻게 심폐소생술을 수행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고, 짤막한 교육영상만으로는 충분히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에 참여한 인원은 매년 증가해서 2019년에는 67만여 명이었지만 이마저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15만 명 이하로 급감했습니다. 그러면 오늘, 대한안전교육협회와 함께 심폐소생술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폐소생술, 그게 뭐야?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

스치기만 해도 중상! 굴착기 사고 사례와 안전수칙 [대한안전교육협회]

2025년 1월 13일, 충북 청주시의 한 중학교 신축 공사 현장에서 한 노동자가 굴착기로 작업 중 이동 경로에 있던 다른 노동자를 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작업자와 중장비 간의 안전 관리 부족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굴착기 작업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 대한안전교육협회와 함께 굴착기 사고 사례와 원인, 또 반드시 지켜야 할 굴착기 작업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굴착기 사고 사례 황소처럼 일 잘하는 굴착기, 그러나 큰 몸집과 무거운 무게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충돌 사고 40%, 전도 사고 25%, 끼임 사고 15%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 그 외 다양한 유형의 사고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굴착기 작업 시 발생한 사고 ..

사무실 작업환경안전 이러닝 콘텐츠 소개 [대한안전교육협회]

사무실 작업환경안전 이러닝 콘텐츠 소개 [대한안전교육협회] 디지털 기기의 발달은 사무실의 환경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전에 PC의 보급은 사무실에서의 대부분의 업무는 손으로 쓰고 그리는 일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입력기기를 이용한 작업으로 바꿔 놓았습니다. 통신 방식이 발달하고 업무 장소에 대한 제한이 줄어들면서 지정된 좌석을 없앤 사무실이나 거점 오피스를 활용하여 직주 근접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다양한 업무 방식과 사무실 활용 방식을 도입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면서 이런 사무실 환경 변화는 가속화되었으며, 팬데믹 이후로 재택 근무 등 업무 방식에 대한 선택 범위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이 안전하게 일하기 위해서는..